104年 高普考 高考三級 國際文教行政(選試韓文) 韓文(包括作文、翻譯與應用文;兼試基礎英文) 試卷

pdf
205.08 KB
2 頁
win7 2007
侵權投訴
加載中. ..
PDF
104
年公務人員高等考試三級考試試題 代號: 21580 全一張
(正面)
科: 國際文教行政(選試韓文)
目: 韓文(包括作文、翻譯與應用文;兼試基礎英文)
考試時間: 2小時
※注意:
禁止使用電子計算器。
不必抄題,作答時請將試題題號及答案依照順序寫在試卷上,於本試題上作答者,不予計分。
(請接背面)
一、翻譯
아래 글을 중국어로 번역하세요.(每小題 10 分,共 20 分)
1. 어느 한국 역사학자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한·중·일 삼국의 역사관은 같지 않다. 중국인의 직시, 또는 한국인의 명분
중심의 역사관으로는 과거를 우물쭈물 넘기는 것은 견딜 없는 일이다.
중국에서는 이민족에 의한 정복의 역사도 정사(正史)로 기록한다. 있었던
그대로를 정당하게 비판하고 역사에 남긴다는 역사관에서는 사실을 감추거나
거짓을 기록하는 허용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한국인의 역사관,
역사의식에는 일본인은 물론 중국인에 비해 정통성에 관한 집착이 있다.
나라의 역사관을 굳이 구별한다면 중국인은 거짓말을 하지 않고 사실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려 하고, 한국인은 명분을 세우는 것을 우선시한다. 명분만
있다면 상당한 억지도 그대로 밀고 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일본은 형편대로
수습되기만 하면 된다는 식이다. 일본 ‘구린 것은 덮어 둔다’ 라는
정신이라고 할까. ‘붉은 신호도 모두 함께 건너가면 무섭지 않다’ 일본
속담도 있다.
2. 한국 교육부가 공청회를 열어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자 병기에 대한 찬반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해 한자 병기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도록 사실이 4 27 일자 언론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교육부는 지난해 9 24 ‘2015 초·중·고학교 교육과정 총론’ 발표하면서,
“한자 교육 활성화를 위해 초·중·고 학교급별로 적정한 한자 수를 제시하고
교과서에 한자 병기의 확대를 검토한다” 라고 밝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아래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하세요(每小題 10 分,共 30 分)
1. 就如泰戈爾所說命運是由一個人的性格造就出來 的一樣,性格是可以左右命
運的。有時我們可看到一些很有才能的人四處活躍,最後卻丟失職位而墮落,這種
人大部分都有性格上的缺陷。反之,我們也看到很多儘管才能與實力不突出,卻是
個性溫和、圓融的人,他們默默地精進,終在社會上獲得成功。這說明了性格可以
引導人生的去路。
2. “自信是成功的首要秘訣,這是美國思想家艾默生所說的話,自信是什麼呢?自
信就是相信自己的能力,相信自己的努力,相信自己的良心,相信自己的人格,相
信自己的未來。我確信會成功就必定成功,我確信會失敗就必定失敗。心理學者強
調自我暗示(self-suggestion的力量,而自信就是一種暗示。
3. 民俗文化(folk culture)是一般人在社會生活中所自然形成的文化,廣義的民俗文
化可說自有人類社會以來即存在了。大眾文化(mass culture)主要是靠文化產業作商
業性的生產,透過大眾媒體, 為大眾所消費的文化。高雅文化(high culture)意指少
數專業藝術家或文化創作者所創造,主要是被社會菁英或上層階級所消費的文化。
104
年公務人員高等考試三級考試試題 代號: 21580 全一張
(背面)
科: 國際文教行政(選試韓文)
目: 韓文(包括作文、翻譯與應用文;兼試基礎英文)
二、應用文(10 分)
주한 중화민국대표부에서 서화전시회등 경기념일 문화행사를 연다. 그때
한국 문화계와 교육계의 주요 인사들을 초청하는 공문서를 작성해 보세요.
(구체적인 시일, 장소, 내용등은 자유롭게 쓰면 됨)
三、作文(10 分)
문화교류라 하면 쪽의 문화가 다른 쪽으로 전파되고 다른 쪽의 문화도
쪽으로 흘러들어와야 교류라 있다. “대만·한국간 문화교류의 밝은
면과 문제점” 대해 글을 작성해 보세요.
四、中譯英:請將下列中文段落譯為英文。(15 分)
今天南韓又增加 5個中東呼吸症候群的確診病例,另有 1人死亡,讓因病毒而導致
死亡的人數增至 16 人。自從五月疫情爆發之後,感染中東呼吸症候群的 150 人當
中,有 120 人還在接受治療。南韓政府這個週末說疫情已經趨緩,但是新的病例還
是會出現。
五、英譯中:請將下列英文段落譯為中文。(15 分)
Many scientists believe that cloning animals can improve the quality and supply of food as
the world’s population continues to rise. Nevertheless, criticisms claim that research into
the safety of consuming cloned animal products has been insufficient to reach definitive
conclusions and it is damaging to animal welfare as cloned animals experience greater
suffering. The research says that fewer than five percent of cloned embryos can be
expected to survive to birth and those born alive often have abnormalities and a reduced
lifespan.
收藏 ⬇️ 下載